2025-10-11
윈도우 11 재부팅 오류 Your device ran into a problem 원인과 해결법 총정리
윈도우 11 강제 재부팅 오류 원인과 해결 방법
윈도우 11 사용 중 갑자기 ‘Your device ran into a problem and needs to restart’ 문구가 뜨며 1~2초 만에 재부팅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문제는 블루스크린(BSOD) 오류의 일종으로, 시스템 핵심 파일이나 드라이버, 하드웨어와의 충돌에서 비롯된다.
특히 게임 실행 중(예 : 리그오브레전드) 갑자기 꺼지거나, Riot Vanguard 보안 모듈과의 충돌이 발생할 때 자주 보고된다.
1. 주요 원인 분석
1). 게임 보안 프로그램(Riot Vanguard) 충돌
Riot Vanguard는 리그오브레전드(일명 롤) 등 게임의 보안 무결성을 확인하는 프로그램이다.
그러나 시스템 권한을 깊게 사용하는 특성상, 윈도우 커널 영역과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부팅 직전이나 드라이버 초기화 과정에서 오류를 유발할 수 있다.
필자는 이에 해당했다. 이유는 '리그오브레전드'의 아이콘이 오류가 발생하면서 빈화면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2). 드라이버 문제
그래픽카드나 네트워크 어댑터 등 특정 장치의 드라이버가 손상되거나 윈도우 11과 호환되지 않으면 시스템 오류를 일으킨다.
최근 업데이트나 설치 이후 문제가 발생했다면, 해당 드라이버를 롤백하거나 재설치하는 것이 좋다.
3). 하드웨어 문제
메모리(RAM) 불량, 저장장치(SSD/HDD) 손상, 또는 CPU 과열은 모두 갑작스러운 시스템 재부팅의 원인이 된다.
특히 RAM 접촉 불량이나 오버클럭 환경에서 오류가 자주 발생한다.
4). 시스템 파일 손상
윈도우의 핵심 시스템 파일이 손상되면, 부팅이나 주요 프로세스 동작 중 치명적 오류가 발생한다.
이는 블루스크린 코드 ‘CRITICAL_PROCESS_DIED’로 표시되며, 복구가 어렵거나 OS 재설치가 필요할 수 있다.
5). 바이러스 및 악성 코드
드물지만, 시스템 파일을 변조하는 악성 프로그램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정기적인 보안 점검과 백신 검사로 예방할 수 있다.
2. 오류 코드별 원인 구분
구분 | 내용 |
---|---|
CRITICAL_PROCESS_DIED | 시스템 핵심 프로세스 손상, 저장 장치 오류 등으로 인해 윈도우 핵심 구조가 망가진 상태. 복구가 어렵고 OS 재설치가 필요할 수 있다. |
IRQL_NOT_LESS_OR_EQUAL | 잘못된 메모리 접근을 시도한 드라이버나 손상된 RAM으로 인한 충돌. 드라이버 교체 또는 메모리 테스트로 해결 가능하다. |
두 코드 중 CRITICAL_PROCESS_DIED가 더 심각한 오류로 분류된다.
3. 간단한 복구 방법
1). 시스템 파일 복구 명령 실행
윈도우 검색창에 CMD 또는 명령 프롬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다.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시스템 파일 검사를 진행한다.
sfc /scannow

검사가 완료되면 손상된 파일을 자동으로 복구한다.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Windows 리소스 보호에서 손상된 파일을 발견하고 성공적으로 복구했습니다.”라는 문구가 표시된다.
복구가 완료되면, 별다른 조치 없이 전부 정상 실행된다.
다만, 유의깊게 살펴보는것을 권장한다.

2). 드라이버 점검 및 복원
장치 관리자에서 최근 업데이트된 드라이버가 있다면 롤백을 진행하거나 최신 버전으로 재설치한다.
3). 메모리 및 저장장치 점검
윈도우 내장 메모리 진단 도구 또는 chkdsk 명령어를 이용해 오류 여부를 확인한다.
4). 게임 보안 모듈 재설치
Riot Vanguard 충돌이 의심된다면, 프로그램을 완전히 제거 후 리그오브레전드를 재설치하는 것이 가장 확실하다.
결론 : 윈도우 블루스크린은 대부분 복구 가능하다
‘Your device ran into a problem’ 오류는 시스템 손상, 드라이버 충돌, 또는 특정 소프트웨어 문제에서 비롯된다.
단순한 경우엔 sfc /scannow 명령어만으로도 복구가 가능하다.
그러나 CRITICAL_PROCESS_DIED 오류처럼 핵심 프로세스 손상이 있는 경우에는 OS 재설치가 불가피할 수 있다.
정기적인 시스템 점검과 드라이버 관리로 이러한 블루스크린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그럼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