닌텐도 스위치2 vs 스위치 OLED 차이점 정리 - 완벽 비교 분석

닌텐도 스위치2 및 OLED


닌텐도 스위치2 vs 닌텐도 스위치 OLED 차이점 비교 - 성능 중점

새로운 닌텐도, 진짜 업그레이드일까?

닌텐도는 드디어 차세대 모델인 스위치2를 공개했다.
기존 OLED 모델 대비 어떤 점이 바뀌었는지, 실제 체감 성능은 어떤지 궁금해하는 유저들이 많다.

이 글에서는 닌텐도 스위치 OLED 모델과 스위치2의 스펙 및 특징을 비교하고,
게임기 중심 유저와 TV/모니터 연결 중심 유저에게 어떤 모델이 더 적합할지 추천한다.


1. 스펙 비교표 - 닌텐도 스위치2 vs 닌텐도 스위치 OLED

제목 스위치 OLED 스위치 2
출시 2021년 10월 2025년 5월
가격(한국) 415,000원 648,000원
화면 7.0인치(HD)
OLED
7.9인치(FHD/HDR)
IPS TFT LCD
도킹 출력 1080p(FHD/60fps) 2160p(4K/60fps)
Soc NVIDIA Tegra X1+ T210B01 NVIDIA Tegra T239
RAM 4GB 12GB
저장공간 64GB 256GB(SD 2TB)
네트워크 Wi-Fi 5/BT4.1 Wi-Fi 6/BT
배터리 16Wh 19.3Wh
무게 301g 401g

겉보기에는 비슷하지만, 내부 성능과 그래픽 처리에서 확실한 차이를 보인다.


2. 스펙에서 드러나는 주요 차이점

1). 화면크기

기존 화면 크기는 7.0인치에서 7.9인치로 대폭 개선되었다.
실제 체감도 0.9차이가 맞나 싶을 정도로 커졌다.

닌텐도스위치2 vs OLED 화면 크기 비교


2). 디스플레이

기존 OLED는 HD급 화질을 제공했지만, 스위치2에서는 FHD급 화질로 개선되었다.
실제로 화면 품질이 눈에 띄게 좋아졌고, 화면이 커진 점도 체감 향상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닌텐도스위치2 vs OLED 디스플레이 비교


3). 해상도 비교

- 본체 비교
우선 본체에 보여지는 해상도 비교 차이 보자.
아래 이미지의 화면은 본체에서 보여지는 화면이다.

닌텐도스위치2 vs OLED 해상도 비교

해상도의 밝기는 OLED가 조금 더 높은 편이지만, 화질은 닌텐도 스위치2가 더 확연이 높아 보인다.


- TV화면 비교
TV는 8K 해상도의 65인치 모델을 사용해 비교했다.
게임은 '마리오 오디세이'를 기준으로 성능을 확인해보았다.
기존 게임은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일지 궁금했다.
8K TV 닌텐도스위치 OLED 화면
8K TV 닌텐도스위치 2 화면

멀리서 볼때는 뚜렷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자세히 보면 잔디의 표현이나 배경의 디테일이 조금 더 선명하게 보인다.

닌텐도스위치2 vs OLED TV 해상도 비교

다만, '마리오 오디세이'는 애초에 4K로 제작된 게임이 아니기 때문에,
업스케일링에는 한계가 있다.


3). 성능 비교

- 성능은 기존 테그라 X1에서 테그라 T239로 크게 향상되었고,
그 결과 4K 영상 출력이 가능해졌다.

- 최대 60fps에서 최대 120fps로 프레임 레이트가 개선되어,
움직임이 더 부드럽게 표현한다.

- VRR(가변 주사율)을 지원하여 프레임 드롭을 줄이고,
그래픽 안정성을 높였다.

- HDR10 지원으로 화면의 색감과 밝기 표현이 더 좋아졌다.

- 고성능을 요구하기 때문에,
독(Dock)에는 냉각 팬이 더 커진 것이 특징이다.


4). 기본 구성품 비교

- 어댑터
기존 일체형 어댑터에서 CtoC 타입의 60W급 어댑터로 변경되었다.

닌텐도스위치2 vs OLED 어댑터 비교


- Dock 비교
본체 크기가 커진만큼 Dock 크기도 상당히 커졌는데, 쿨링 성능이 대폭 상승하였다.

닌텐도스위치2 vs OLED 독 비교 닌텐도스위치2 vs OLED 독 비교 닌텐도스위치2 vs OLED 독 비교


닌텐도 스위치 2의 쿨링 구조는 하단에서 공기를 빨아들인 뒤,
내부의 열을 상단으로 배출하는 방식의 구조다.

닌텐도 스위치 2 Dock 쿨링 구조


- HDMI 케이블 비교
유일하게 변경 사항이 없어 보인다. HDMI 케이블 구조가 완전히 똑같다.

닌텐도스위치2 vs OLED HDMI 비교


3. 어떤 유저에게 어떤 모델이 맞을까?

1). 휴대 중심 유저 (밖에서 짬짬이 플레이)

- 추천 : 닌텐도 스위치 OLED
- 해상도나 화면은 충분하며, 배터리 효율도 좋고 가볍다.
- 가격 부담 없이 닌텐도 게임 즐기기엔 여전히 훌륭한 모델.

2). TV 또는 모니터에 연결해서 플레이하는 유저

- 추천 : 닌텐도 스위치 2
- 4K 출력 + 고성능 SoC로 인해 대형 화면에서의 몰입감이 극대화됨.
- '젤다의 전설' 같은 그래픽 위주 게임 즐기는 유저에게 강력 추천.


마무리 - 업그레이드, 누구에게 필요할까?

닌텐도 스위치 OLED에서 닌텐도 스위치 2로 기기 교체의 추천 유저.

- TV 위주, 고성능 게임 선호 유저에겐 'YES'

하지만 휴대 위주나 라이트한 게임을 사용하는 입문자라면 굳이 웃돈 주고 살 필요가 없다.
닌텐도 스위치 OLED만으로도 충분히 만족도가 높다.

마지막으로 닌텐도 스위치 2 독점 게임 여부에 따라 갈아탈 이유는 더욱 명확해질 수 있다.



그럼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