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스마트싱스 허브 V4(IM6001-V4P03) 실사용 후기 리뷰 - 연결 방법 및 꿀팁까지

스마트싱스 허브 V4



삼성 스마트싱스 허브 V4(IM6001-V4P03) 실사용 후기

스마트홈의 중심에서 필수는 바로 허브이다.

조명, 센서, 도어락, 가전제품이 아무리 많아도 서로 연결되지 않으면 단순한 개별 기기일 뿐이다.

그래서 허브 선택은 중요하다.


이번에 삼성에서 새롭게 선보인 스마트싱스 허브 V4(IM6001-V4P03)를 직접 사용해보았다.

크기는 작아졌고, 지원하는 무선 프로토콜은 더 다양해졌다.


기존에 있던 스마트싱스 허브 V3은 성능이 다소 아쉬운점이 많았다.

필자는 그래서 스마트싱스 스테이션을 이용해왔다.


그렇다면 실제 사용 경험은 어떠했을까?

실사용 후기를 남겨본다.



1. 스마트싱스 허브 V4 성능 및 구성

1). 성능

스마트싱스 허브 V4는 우선 V3 대비 작아진 크기와 업그레이드된 성능이다.

스마트싱스 허브 V3과 비교해보았다.


항목 허브 V3 허브 V4
크기 127x126x29mm, 95x94x25mm, 
CPU ARM Cortex-A7 (528MHz) ARM Cortex-A7 (900Mhz)
RAM 128MiB (약 134 MB) 512MB (4배 향상)
저장공간 4GiB eMMC 약 8GB (2배 향상)
통신 프로토콜 Zigbee, Z-Wave, Matter, Thread, Ethernet Zigbee, Matter, Thread, Ethernet
Wi-Fi 및 유선 2.4GHz / 5GHz / 100Mbps 2.4GHz / 5GHz / 100Mbps
포트 및 전원 이더넷, USB-A, DC 전원 이더넷, USB-C(전원), USB-A

차이점으로는 Z-Wave 지원이 빠졌고, 1.7배 향상된 CPU 성능과 RAM 및 저장공간이 있다.


2). 구성품

제품의 특징으로는 컴팩트하지만 가벼워 보이지만 단단한 마감이다.

바닥에는 미끄럼 방지 고무가 있어 흔들림이 없다.


구성품으로는 아래와 같다.

스마트싱스 허브 V4 구성품

- 본체

- 이더넷 랜 케이블 (Cat. 6)

- V5, 2A / A type USB 직류 전원 어댑터

- 벽걸이 거치대, 스크류, 간단 사용 설명서


2-1). 랜케이블과 어댑터

특이한 점은 Cat. 5e 정도만 넣어도 충분한데 오버스펙인 Cat. 6의 케이블을 넣었다.

왜냐하면 스마트싱스 허브 V4는 100Mbps의 속도를 지원하기 때문이다.

스마트싱스 허브 V4 어댑터와 랜케이블


2-2). 거치대

벽걸이형으로 기본 거치대를 제공해준다. 4개의 스크류와 거치대가 있다.

스마트싱스 허브 v4 거치대
스마트싱스 허브 V4 스크류

위에서 아래로 탈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2. 스마트싱스 허브 V4 기능

스마트싱스 허브 V4의 기능은 단순하게 되어 있다.


1). 바닥면 'Reset'

바닥면에 reset이 버튼으로 변경되어 있는데,

설명을 듣고 해야 reset을 할 수 있다.

버튼식이지만 방식은 일반적이지 않다.

스마트싱스 허브 V4 Reset 버튼

- Reset 하는 방법

Step 1. 전원을 분리한상태에서 'RESET' 버튼을 누르고 있는다.

Step 2. 'RESET'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전원을 연결한다.

Step 3. LED 표시등이 노란불로 되어 깜빡깜빡 점등 표시를 확인한다.

Step 4. 'RESET' 버튼을 떼어 낸다.

Step 5. 1~2분 기다린다.


2). 뒷면 '포트'

뒷면은 USB-C, 이더넷, USB-A 포트로 구성되어 있다.

전원은 USB-C만 지원한다.

스마트싱스 허브 V4 포트 구성

포트 구조의 차이점은 크게 기존 DC 어댑터에서 C-type 으로 변경되었다.


3). 앞면 '연결'

앞면은 연결 버튼이 있는데 수동으로 연결할 때 사용한다.

스마트싱스는 자동으로 찾아서 연결하기 때문에 버튼 누를일은 없다.

스마트싱스 허브 V4 연결버튼



3. 설치와 세팅 과정

1). 간단한 설치

- 전원 연결 후 스마트싱스 앱에서 허브 추가를 선택하면 된다.

보통 스마트싱스 앱을 켜놓으면 자동으로 스마트싱스 허브를 찾아 '추가' 버튼이 생긴다.

이후 QR코드를 스캔하면 자동 인식된다.


2). 설치 순서

2-1). 전원 ON

스마트싱스 허브 V4의 전원을 키면 LED 표시 등에서 '초록불'이 깜빡 거린다.

스마트싱스 허브 V4 전원 점멸등


2-1). 검색

총 2가지 방법이 있다. 연결 기기명은 'ThingsOne 스마트 홈 허브'가 기본으로 뜬다.


01. 스마트싱스 앱을 켠뒤 자동 검색으로 하단에 스마트싱스 허브 V4 추가

02. 주변검색을 눌러 스마트싱스 허브 V4 추가

스마트싱스 주변검색 기기 추가


기기에서 연결 준비가 완료되면, LED 표시등에 '초록불'과 '빨간불'이 깜빡거린다.

스마트싱스 허브 V4 연결준비 점멸등


2-2). 기기연결

스마트싱스 허브 V4를 누르면 기기 연결이 되는데 연결 방법은 총 2가지다.


01. 무선 연결 (해당 wi-fi 입력 후 연결)

02. 유선 연결 (별도 과정 없음)

스마트싱스 기기 연결 중

무선으로 연결할 경우 특이점을 발견하였다.

무선으로 연결한 뒤 유선 랜 포트를 체결 했을 때 무선과 유선 신호를 둘다 받는 구조로 된다.

다만, 둘중 어느 신호를 받아 연결하는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필자는 안정성을 위해 유선만 연결하여 사용한다.


2-3). 연결 완료

상호 연결이 완료 되었을 때, LED 표시등에서 '파란불'이 깜빡거린다.

스마트싱스 허브 V4 연결중 점멸등


최종 연결되면 '파란불'이 점등 되면서, 스마트싱스 허브 V4는 자동으로 '허브 그룹'에 속한다.

기존과 다르게 간편한 연결로 세팅할 수 있게 되었다.

스마트싱스 기기연결 완료


3). 연결 오류시 해결 방법

연결 오류는 크게 2가지가 있다.


3-1). 유선 연결시 오류

유선 연결할 때 랜케이블이 공유기에 잘못 설치 되었을 경우 오류가 뜬다.

스마트싱스허브 V4 유선 연결 오류 (오류코드 37-601)

이 경우는 유선 연결이 랜케이블이 고장났거나, 공유기가 고장났을 경우 연결이 되지 않아서 뜨는 오류 이다. 이부분은 랜케이블 또는 공유기를 점검해서 랜케이블이나 공유기가 잘되어있는지 확인해야한다.


3-2). 기기 오류

기기오류 같은 경우는 2가지 오류가 있다.


- 하드웨어 고장으로 인한 오류

- 소프트웨어 오류


소프트웨어의 오류 일경우 'RESET' 버튼을 눌러 초기화를 진행 한뒤 설치한다.



4. 지원 프로토콜과 확장성

1). Wi-Fi 듀얼밴드

V4는 2.4GHz뿐 아니라 5GHz까지 지원한다.

실제 속도와 안정성이 개선되었다.


2). BLE 5.1과 Thread 1.4

스마트홈 최신 트렌드인 Thread를 지원한다는 점이 가장 반가운 변화이다.

Matter 기기 호환성 확보에도 큰 의미가 있다.


3). Zigbee와 Matter 호환

삼성의 강점은 여전히 폭넓은 호환성이다.

다양한 Zigbee 기기와 WWST 인증 기기를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5. 허브 그룹 설정

스마트싱스 허브는 '메인허브'와 '서브허브'로 나뉜다.

메인허브는 말그대로 메인으로 설치와 관리를 모두 담당한다.

서브허브는 리피터 역할로 연결을 끊김없이 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메인허브가 빠지면 모든 연결이 끊긴다.

스마트싱스 허브 V4를 메인 허브로 만드는 과정은 아래와 같다.

단, 다른 허브가 없다면 자동으로 '메인허브'가 되기 때문에 설정할 필요가 없다.


1). 스마트싱스 허브 V4 들어가기

스마트싱스 앱에서 스마트싱스 허브 V4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화면이 뜬다.

스마트싱스앱에서 스마트싱스 허브 V4 화면

허브 그룹을 클릭한다.


2). 허브 그룹

허브 그룹 편집화면으로 들어가지는데 이때 하단에 '메인 허브 변경'을 선택한다.

스마트싱스 허브 메인허브 변경


3). 메인 허브 변경 설정

메인 허브 변경하면 '새 메인 허브'에서 스마트싱스 허브 V4를 선택 한뒤 '설정'을 선택한다.

스마트싱스 메인 허브 변경 설정


4). 메인허브 변경 설치

메인허브로 최종 변경 설정을 하면 설치과정이 약 1~2분 소요된다.


설치하는 동안 다른 화면에 가거나 꺼졌을 경우,

스마트싱스앱에서 스마트싱스허브V4를 삭제한 뒤 초기화 후 다시 연결해야 한다.

스마트싱스 메인허브 변경 설치중


5). 메인허브 변경 완료

변경이 완료되면 다음 아래와 같이 화면이 뜬다.

스마트싱스 메인허브 변경 완료


6). 메인허브 변경 오류 해결 방법

메인허브 변경시 앱을 껐을 경우, 스마트싱스 앱에서 허브 V4 설치를 다시 해야한다.

재설치할 때 반드시 초기화한뒤 연결해야 메인허브로 바꿀 수 있다.


다른 오류도 존재하는데 초기화를 한뒤 바로 메인허브로 연결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뜬다.

메인허브 변경 오류

펌웨어 업데이트가 안되어서 할 수 없다고 뜨는데,

'24시간' 기다릴 필요 없이 스마트싱스허브 V4 화면으로 들어간뒤 1~2분 뒤에 메인허브 변경을 누르면 정상 설치 진행 가능하다.



6. 기존 스마트싱스 허브V3와 비교

1). 업그레이드 가치

- V3 → V4로 자동 이관 기능 지원

- 허브 그룹핑을 통한 다중 허브 관리 가능

- 더 많은 프로토콜 지원


2). 체감 차이

V3 사용자는 기본 성능에 큰 불만은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V4는 Thread 지원과 더 빠른 반응 속도에서 확실한 차이를 보여준다.



7. 아쉬운 점

1). Z-Wave 미지원

V3와 달리 V4에서는 Z-Wave 지원이 빠졌다.

기존 Z-Wave 기기를 쓰던 사용자라면 불편할 수 있다.


2). 앱 의존성

당연한 소리지만 여전히 모든 설정은 스마트싱스 앱을 통해야 한다.

HA의 자유도에 비하면 아쉬운점이 많다.

또한, PC에서의 스마트싱스 화면에서 허브는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PC에서 설정은 불가능하다.


3). Matter의 초기 단계

Matter 지원은 장점이지만, 아직 실제 호환 기기가 많지 않다.

앞으로 생태계 확장이 필요하다.



8. 종합 평가

스마트싱스 허브 V4(IM6001-V4P03)는 작지만 강력한 업그레이드이다.


- 설치와 세팅은 더 간단해졌다.

- 반응 속도와 안정성이 개선되었다.

- Thread와 Matter 지원으로 미래 확장성이 확보되었다.


다만 Z-Wave 미지원은 기존 사용자에게는 단점이 될 수 있다.

그래도 앞으로 스마트홈 생태계를 확장하려는 사용자라면 V4는 충분히 매력적인 선택이다.



결론 - 이제부터 본격 시작 스마트싱스 허브 V4

집안의 모든 기기를 하나의 중심으로 묶어주는 허브, 그 진화가 시작되었다.

스마트싱스 허브 V4는 스마트홈의 현재와 미래를 모두 고려한 제품이다.


작지만 강력한 성능, 그리고 넓어진 호환성은 분명한 장점이다.

이제는 개별 기기를 넘어 진짜 연결된 스마트홈을 경험할 차례이다.




그럼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