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한국 스마트폰 브랜드 점유율 정리 - 향후 주력 브랜드 예상
스마트폰을 바꿀 때, 누구나 고민하는 질문이 있다.
갤럭시 살까, 아이폰 살까?
이 단순한 선택은 이제 단순한 기호의 문제가 아니다.
나이, 직업, 사용하는 앱, 심지어 액세서리까지 영향을 주는 복합적인 결정이다.
그렇다면 2025년 현재, 대한민국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브랜드는 무엇일까?
그리고 향후 주력 브랜드는 어떻게 바뀔 것인가?
갤럽과 주요 리서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조사해보았다.
현재 점유율, 연령대별 차이, 향후 구매 의향까지 종합 정리해본다.
1. 현재 스마트폰 브랜드 점유율
2025년 기준,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 10명 중 7명 이상은 삼성 갤럭시를 사용 중이다.
애플 아이폰은 20%대 중반을 차지하며 젊은 층을 중심으로 강한 충성도를 보이고 있다.
1). 전체 사용자 기준 점유율
- 삼성 갤럭시 : 약 69~72%
- 애플 아이폰 : 약 23~24%
- LG·기타 브랜드 : 약 2% 이하
삼성의 점유율은 60대 이상에서 높고, 아이폰은 10·20대에서 강세를 보인다.
2). 연령별 주요 브랜드 사용 현황
연령대 | 주력 브랜드 | 비율 |
10대 | 아이폰 중심 | 약 60% 이상 |
20대 | 아이폰 우세 | 약 62% 이상 |
30대 | 갤럭시 우세 | 약 56% |
40대 | 갤럭시 중심 | 약 70% 이상 |
50대 | 갤럭시 중심 | 약 80% 이상 |
60대+ | 갤럭시 중심 | 약 85% 이상 |
20대 이하에서는 아이폰이 대세, 중장년층 이상은 여전히 갤럭시가 중심이다.
2. 향후 스마트폰 구매 의향
사용자들이 다음에 어떤 브랜드를 선택할 것인가?
이 질문은 점유율 변화와 브랜드 생존력에 큰 영향을 준다.
갤럽 조사에 따르면, 향후 스마트폰 구입 의향은 삼성 71%, 애플 21% 수준이다.
하지만 연령대에 따라 양상이 크게 다르다.
1). 연령별 향후 선호도
- 20대 : 애플 구입 의향 비중이 50% 이상
- 30대 : 아이폰 40%대 중반
- 40~60대 : 삼성 80% 이상으로 유지
특히 20대 여성은 아이폰 선택 비율이 75% 이상으로, 매우 높은 브랜드 충성도를 보이고 있다.
2). 직업별(추정 기반) 특징
- 학생·전문직군 : 애플 중심
- 자영업·사무직 : 삼성 선호
- 은퇴 연령층 : 삼성 고정 비율 압도적
특히 사무직 직군은 갤럭시의 안드로이드 기반의 광범위한 높은 호환성 때문에,
갤럭시 고객층이 주력을 이루는 것으로 판단된다.
3. 현재 브랜드 재구입 의향자 비율
한 번 쓴 브랜드를 또 살 것인가?
한국 갤럽은 이 질문에 대해 삼성 사용자의 재구입 의향이 가장 높다고 밝혔다.
즉, 기존 사용자 충성도에서 삼성은 애플보다 앞서 있다.
1). 재구매 의향 비교
- 삼성 갤럭시 사용자 중 80% 이상이 "갤럭시 유지"
- 애플 아이폰 사용자 중 70%대 "아이폰 유지"
- 브랜드 이동보다는 '브랜드 고착화' 경향 강화
이는 OS·앱·기기 간 연동의 익숙함과 학습 비용 회피 심리와도 연결된다.
또한 생태계를 벗어나려면 모든 기기를 바꿔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에,
브랜드 고착화는 점차 높아지고 있다.
4. 스마트워치 사용률
스마트폰 외 주변기기 사용률은 스마트 생태계의 중심을 말해준다.
2024~2025년 기준 스마트워치 사용률은 전체 성인의 약 33% 수준이다.
1). 증가 추이
- 2020년 : 12%
- 2022년 : 24%
- 2025년 : 33%
삼성 갤럭시 워치, 애플워치 시리즈 등 브랜드 연동 제품이 중심이다.
헬스케어 관심 증가, 운동 트래킹, 수면 분석 등이 확산에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높은 사용률을 보이는 직군은 '사무/관리' 직이 약 46%으로 높은 수치가 나왔다.
이는 직무 및 업무 상 필수 아이템으로 자리 잡고 있다는 신호로 볼 수 있다.
5. 무선 이어폰 사용률
무선 이어폰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에 가깝다.
2025년 기준 성인 58% 이상이 무선 이어폰을 사용하고 있다.
1). 브랜드 중심 기기
- 갤럭시 버즈 시리즈
- 에어팟 시리즈 (특히 20·30대)
음악 감상보다 통화·회의·컨텐츠 소비가 주 용도로,
브랜드별 기기 연동 경험이 중요해지고 있다.
6. 향후 주력 브랜드 예측
현재의 점유율과 미래의 선호도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은 흐름이 보인다.
1). 삼성의 강점
- 40대 이상 충성도 압도적
- 브랜드 재구매율 최고
- 하위 모델부터 프리미엄까지 라인업 다양
2). 애플의 확산 가능성
- 20대에서 이미 압도적 1위
- 여성·학생 중심으로 충성도 강함
- 애플워치·에어팟 등 연동기기 생태계 우수
현재는 삼성 중심, 미래는 아이폰 잠재 성장.
향후 5년 내 20·30대의 브랜드 변화가 전체 시장 점유율을 흔들 높은 가능성
마무리 - 삼성은 20대 타겟에 집중해야 한다.
2025년의 스마트폰 브랜드 지형은 단단하다.
삼성은 여전히 대한민국의 대표 브랜드이지만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다소 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여러 의견들을 들었을 때 어렸을 때의 '키즈폰'을 주로 사용한다.
'키즈폰'은 통상 삼성 브랜드가 주력이다.
'키즈폰'의 브랜드 경험이 부정적인 영향을 받아,
20대에서는 애플을 처음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추측한다.
'키즈폰'의 부정적인 브랜드 경험이 곧,
20대의 삼성 브랜드의 이탈율을 높이는 결과로 예상된다.
또한, 스마트워치와 무선이어폰 사용률이 높아지는 지금,
단순한 기기 선택을 넘어 '스마트 생태계' 전체에 대한 선택이 더 중요해지고 있다.
첫 브랜드가 곧 생태계의 구축의 시작점이기 때문에,
초반 유입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럼 끝